헌법적 과도기와 과도기 헌법 - 2019~2023년 칠레의 신헌법 제정 시도와 그 시사점을 중심으로- |
세계헌법연구 |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
|
202408 |
헌법제정권력: 갱신(更新) 중의 개념 |
헌법학연구 |
한국헌법학회 |
|
202306 |
법원의 인권합치적 법해석에 관하여 - 대법원 2022. 4. 21. 선고 2019도3047 전원합의체 판결을 소재로 삼아 - |
헌법학연구 |
한국헌법학회 |
|
202212 |
연속과 불연속: 5.16 쿠데타와 헌법적 단층 |
헌법학연구 |
한국헌법학회 |
|
202109 |
미국 연방대법원의 위헌 판단 회피 원칙(Constitutional Avoidance)과 그 한국적 시사점 - 법원의 헌법합치적 해석 및 위헌법률심판제청의 기준과 관련하여 - |
서울법학 |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
201811 |
헌법합치적 법률해석과 법원의 기본권보장의무 -대법원과 하급심의 기본권 영역에 관한 최근 판례를 중심으로- |
헌법학연구 |
한국헌법학회 |
|
201709 |
선거운동의 개념과 민주적 정치과정 -대법원 2016. 8. 26. 선고 2015도11812 전원합의체 판결을 중심으로- |
법학논집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
201706 |
1962년 헌법제정론과 헌법개정론의 논쟁에 대한 연구 |
법학연구 |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
201608 |
헌법제정의 유형과 양상에 관한 소고(小考) - 헌법제정의 환경, 절차, 제도적 행위자 - |
법학논총 |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
|
201606 |
스페인 1978년 헌법의 성립과정에 관한 연구 |
유럽헌법연구 |
유럽헌법학회 |
|
201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