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가와 법의 중립성에 관한 고찰―동등한 존중으로서의 중립성 원리― |
법철학연구 |
한국법철학회 |
단독 |
201512 |
|
|
집합행동, 신뢰, 법- 공적 신뢰의 토대에 관한 고찰 -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309 |
|
|
한국 법질서와 정의론: 공정과 공평, 그리고 운의 평등 - 試論 -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203 |
|
|
존 롤즈 정의론의 법학적 함의: 기본권 형량의 측면에서 |
심헌섭 박사 75세 기념논문집: 법철학의 모색과 탐구 |
법문사 |
단독 |
201104 |
|
|
‘불간섭으로서의 자유’와 ‘비예속상태로서의 자유’-한국사회의 자유담론과 관련해서
|
법과사회 |
법과사회이론학회 |
단독 |
201012 |
|
|
전통윤리의 법적 강제와 법의 중립성-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맥락에서 |
아시아여성법학 |
아시아여성법학연구소 |
단독 |
201011 |
|
|
우리 대법원 법해석론의 전환: 로널드 드워킨의 눈으로 읽기 - 법의 통일성( law's integrity)을 향하여 |
법철학연구 |
한국법철학회 |
단독 |
201004 |
|
|
공동의사결정으로서의 거버넌스와 절차적 정의: 세 가지 모델 |
국정관리연구 |
성균관대학교국정관리대학원 |
단독 |
200912 |
|
|
한국 법체계에서 자연법론의 형성과 전개 |
법철학연구 |
한국법철학회 |
단독 |
200812 |
|
|
불법행동이나 잠재적 불법 행동에 대한 연구에서 기밀유지에 대한 법적/윤리적 고려 |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지 |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
공동참여 |
200812 |
|
|
법적 이익형량의 구조와 정당화 문제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
단독 |
200706 |
|
|
칸트와 법치주의: 법률, 법, 이성 |
철학사상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단독 |
200706 |
|
|
인권과 정의론: 최소한의 정의원리보장으로서의 인권 |
인권과정의 |
대한변호사협회 |
단독 |
200705 |
|
|
법철학자의 관점에서 바라본 비교법 방법론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단독 |
200610 |
|
|
법원리로서의 공익: 자유공화주의 공익관의 관점에서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
단독 |
200609 |
|
|
북한법체계에 있어서의 법개념론과 법치론에 관한 고찰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
단독 |
200503 |
|
|
권리담론의 세 차원: 개념분석, 정당화, 제도화 |
법철학연구 |
한국법철학회 |
단독 |
200405 |
|
|
도덕적 권리,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 그리고 헌법에 열거되지 않은 기본권 |
헌법과 사회(최대권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
철학과 현실사 |
단독 |
200309 |
|
|
법적 권리에 관한 연구(I)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0212 |
|
|
공정으로서의 정의관에서 본 남녀평등-'잠정적 우대조치' 개념의 분석 |
법철학연구 |
한국법철학회 |
단독 |
200212 |
|
|
John Rawls 자유론에 있어서 분석적 차원과 규범적 차원 |
법철학연구 |
한국법철학회 |
단독 |
200207 |
|
|
Constitutional Justice and Overlapping Consensus: A Reconstruction of Rawls's Political Conception of Justice |
Archiv fuer Rechts- und Sozialphilosophie |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Philosophy of La |
공동(교신) |
199807 |
|
|
자연법론적 승인율 모델의 가능성 |
법철학연구 |
한국법철학회 |
공동(교신) |
|
|
|
자연법론적 승인율의 필연성에 대하여 |
법철학연구 |
한국법철학회 |
공동(교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