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3년(정조 7) <雇工定制>의 성립과정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803 |
조선민사령과 한국 근대 민사법 |
동북아법연구 |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705 |
東京大學 法學部 도서관 소장 “秋曹受敎”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공동 |
201704 |
서울법대 학문연구 70년: 법사학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703 |
근대 한국 법학교육 제도사 |
법교육연구 |
한국법교육학회 |
단독 |
201512 |
≪朝鮮經國典≫과 朝鮮初期 法制整備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506 |
祭祀와 財産相續의 法的 問題 - 역사적 시야에서 -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단독 |
201504 |
국회도서관 소장 ≪官吏須知≫에 대해서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단독 |
201410 |
The Codifications and Legal Institutions of the Joseon Dynasty |
JOURNAL OF KOREAN LAW |
SEOUL NATIONAL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 |
단독 |
201312 |
‘朝鮮’法學史 구상을 위한 試論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309 |
한국의 가계계승에서 여성의 지위 -식민지기 女性戶主를 중심으로-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단독 |
201304 |
조선본 ≪律學解頤≫에 대하여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303 |
1793년(정조 17) <婢夫定律>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203 |
≪受敎謄錄≫의 內容과 價値 |
규장각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단독 |
201112 |
生養家 奉祀 慣習에 대한 小考 |
저스티스 |
한국법학원 |
단독 |
201106 |
朝鮮時代의 家系繼承法制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006 |
조선전기 중국법서의 수용과 활용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제1) |
200912 |
식민지기 관습법의 형성과 한국가족법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단독 |
200910 |
한국의 법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도서관 및 법률정보서비스(1~3) |
국회도서관보 |
국회도서관 |
공동(제1) |
200908 |
식민지기 상속관습법의 타당성에 대한 재검토 - 가족인 장남의 사망과 상속인의 범위 -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0903 |
번역: 經國大典註解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0806 |
大明律의 罪刑法定主義 原則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0803 |
법서의 출판과 보급으로 본 조선사회의 법적 성격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200712 |
1517년 安東府 決訟立案 분석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공동(교신) |
200704 |
종중의 성격에 대한 비판적 검토 -‘자연발생적 단체’설에 대한 역사적 접근- |
민사판례연구 |
민사판례연구회 |
공동(교신) |
200703 |
국민의 벗, 법률가 애산 이인 |
검찰 |
대검찰청 |
공동(교신) |
200612 |
16세기 재산상속의 한 실례 -1579년 권지 처 정씨 허여문기의 분석-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200612 |
검사의 한 표상으로서 최대교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공동(교신) |
200610 |
조선어학회 사건에 대한 법적 분석 |
애산학보 |
애산학회 |
공동(교신) |
200610 |
16세기 立案 2건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200609 |
16세기 거래법에 대한 소고 |
민법학의 현대적 양상 |
법문사 |
공동(교신) |
200605 |
법정사 항일운동에 대한 법적 고찰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공동(교신) |
200510 |
속대전의 위상에 대한 소고 -'봉사 및 입후'조를 대상으로-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200503 |
宗法制祭祀的承繼和家族的變化 |
法律史學硏究 |
中國政法大學 法律史學硏究中心 |
공동(교신) |
200407 |
16세기 재산상속과 제사승계의 실태 |
고문서연구 |
고문서학회 |
공동(교신) |
200402 |
전기자료에 나타난 16세기 양자의 특징: 사마방목의 분석 |
국제지역연구 |
서울대학교 국제지역원 |
공동(교신) |
200312 |
조선 전기 대명률의 수용과 변용 |
진단학보 |
진단학회 |
공동(교신) |
200312 |
참작감률을 통해본 다산의 법인식 |
다산학 |
다산학술문화재단 |
공동(교신) |
200306 |
배우자의 대습상속 -연혁적 고찰- |
민사판례연구 |
민사판례연구회 |
공동(교신) |
200302 |
朝鮮中期 祭祀承繼의 實態 -安東 周村 眞城李氏家門의 例-
|
최승희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조선의 정치와 사회}
|
집문당 |
공동(교신) |
200212 |
朝鮮前期 功臣地位의 承繼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200206 |
1625年 號牌事目에 대한 考察
|
청담최송화교수화갑기념 {현대공법학의 과제}
|
박영사 |
공동(교신) |
200206 |
韓國法制史 관련 문헌자료 검색법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200203 |
高麗時代 居喪行爲의 規制 -高麗律을 중심으로-
|
심당송상현선생화갑기념논문집 {이십일세기 한국상사법학의 과제와 전망}
|
박영사 |
공동(교신) |
200201 |
조선시대의 권력분립과 법치주의 -그 시론적 고찰-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200112 |
The Formation of Four-generation Ancestor Worship in Early Korea |
Journal of Korean Law |
SNU College of Law, BK LAW 21 |
공동(교신) |
200109 |
1597년 경상좌도 방어사 권응수 앞 유지 |
고문서연구 |
고문서학회 |
공동(교신) |
200108 |
조선전기 주자가례의 수용과 제사승계 관념 |
역사민속학 |
한국역사민속학회 |
공동(교신) |
200106 |
대전회통의 편찬과 그 의의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200102 |
조선전기 상속에서의 공사논변 |
인재 임정평교수 화갑기념논문집 신세기의 민사법과제 |
법원사 |
공동(교신) |
2001 |
제사용 재산의 귀속주체 |
민사판례연구 |
박영사 |
단독 |
20002 |
영산 박병호 : 법학과 역사학의 가교 |
정신문화연구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공동(교신) |
200012 |
<유연전>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16세기 형사절차의 일례- |
인도주의적 형사법과 형사정책 |
동성사 |
공동(교신) |
200012 |
자료 : 服式 해설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공동(교신) |
200010 |
<유연전>에 나타난 상속과 그 갈등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공동(교신) |
200004 |
흠흠신서 서평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200002 |
묵재일기에 나타난 가제사의 실태 |
법제연구 |
한국법제연구원 |
공동(교신) |
199906 |
1816년 求禮 文化柳氏家 所志에 대한 法的 考察 |
고문서연구 |
고문서학회 |
공동(교신) |
199905 |
역주 당률소의 서평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199905 |
20세기 한국 전통과 서구의 충돌 : 서구법 수용의 왜곡 |
역사비평 |
역사비평사 |
공동(교신) |
199902 |
16세기 첩자의 제사승계권 |
사회와 역사 |
한국사회사학회 |
공동(교신) |
1998 |
일제의 식민정책과 식민지 조선의 법제 |
법제연구 |
한국법제연구원 |
공동(교신) |
1998 |
1816년 求禮 文化柳氏家 所志에 대한 法的 考察 |
고문서연구 |
한국고문서학회 |
공동(교신) |
1998 |
自山 安廓의 韓國法史 理解 - <<朝鮮文明史>>를 중심으로 |
서울대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
1997 |
제도와 사상의 흐름 |
밝달 |
|
|
19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