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양도담보 목적물 사이의 부합과 부당이득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909 | 
		
			|  | Judging Capacity in Korean Private Law | Journal of Korean Law |  | 단독 | 201908 | 
		
			|  | 유언방식의 개정방향 | 가족법연구 | 한국가족법학회 | 단독 | 201903 | 
		
			|  | 민법 개정작업에 대한 단상 – 2014년 법무부 민법 개정시안 물권편을 소재로 - | 민사법학 | 한국민사법학회 | 단독 | 201812 | 
		
			|  | 권리의 하자를 이유로 하는 담보책임의 성질 | 한양대학교 법학논총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806 | 
		
			|  | 계약인수와 대항요건 - 大判 2017.1.25., 2014다529331)에 대한 평석 - | 민사법학 | 한국민사법학회 | 단독 | 201806 | 
		
			|  | 네델란드의 부당이득법 | 외법논집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802 | 
		
			|  | Two Years of the Reformed Adult Guardianship Law in South Korea: A Retrospect | Journal of Korean Law |  | 단독 | 201706 | 
		
			|  | 법발견에서 원리의 기능과 법학방법론 -요제프 에써의 <원칙과 규범>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603 | 
		
			|  | 유언의 성립과 효력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민사판례연구 | 민사판례연구회 | 단독 | 201602 | 
		
			|  | 동기착오의 현상학 | 저스티스 | 한국법학원 | 단독 | 201512 | 
		
			|  | 후견인의 이해상반행위 금지 | 일감법학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510 | 
		
			|  | 대상청구권 - 민법개정안을 계기로 한 해석론과 입법론 -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412 | 
		
			|  | 피후견인의 신상결정과 그 대행 | 가족법연구 | 한국가족법학회 | 단독 | 201407 | 
		
			|  | 성년후견감독인 | 성년후견 | 한국성년후견학회 | 단독 | 201404 | 
		
			|  | 가사소송법상 절차능력에 대한 입법론적 연구 | 사법 | 사법발전재단 | 단독 | 201403 | 
		
			|  | 성년후견 ? 한정후견의 개시심판과 특정후견의 심판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403 | 
		
			|  | 공동연대보증인들 사이의 구상관계 | 민사판례연구 | 민사판례연구회 | 단독 | 201402 | 
		
			|  | Die deliktische Gehilfenhaftung im europaischen Vergleich | ZEITSCHRIFT FUR EUROPAISCHES PRIVATRECHT | C.H.BECK | 단독 | 201305 | 
		
			|  | 사용자책임의 요건으로서 사용관계 | 민사법학 | 한국민사법학회 | 단독 | 201303 | 
		
			|  | 피성년후견인과 피한정후견인의 소송능력  ―해석론과 입법론― | 가족법연구 | 한국가족법학회 | 단독 | 201303 | 
		
			|  | 사용자책임의 입법주의 연구- 역사적?비교법적 접근 -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209 | 
		
			|  | 사용자책임에서 사용자구상과 피용자책임에 관한 프랑스 판례의 동향 | 민사법학 | 한국민사법학회 | 단독 | 201206 | 
		
			|  | 사용자책임에서 사무집행관련성의 판단- 비교법적 연구로부터의 시사 -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206 | 
		
			|  | 「동산ㆍ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동산담보권과 채권담보권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109 | 
		
			|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보증금반환채권의 분리양도와 양수인의 우선변제 - 大判 2010. 5. 27., 2010다10276 - | 법조 | 법조협회 | 단독 | 201105 | 
		
			|  | 민사적 환경책임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103 | 
		
			|  | Der Einfluss der Grundrechte auf das koreanische Privatrecht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007 | 
		
			|  | 민법 개정안에 따른 성년후견법제 | 가족법연구 | 한국가족법학회 | 단독 | 201007 | 
		
			|  | 민법 제368조에 대한 단상  - 이탈리아?오스트리아의 공동저당법리와의 비교 -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003 | 
		
			|  | 은행의 정보제공책임 | 민사판례연구 | 민사판례연구회 | 단독 | 201002 | 
		
			|  | 우리 상속법의 비교법적 위치 | 가족법연구 | 한국가족법학회 | 단독 | 200907 | 
		
			|  | 강제집행ㆍ파산절차에서 양도담보권자의 지위 | 저스티스 | 한국법학원 | 단독 | 200906 | 
		
			|  | 저당권자의 물상대위와 부당이득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0906 | 
		
			|  | 한정승인의 효과로서 발생하는 재산분리의 의미 | 가족법연구 | 한국가족법학회 | 단독 | 200811 | 
		
			|  | 점유자와 회복자의 법률관계와 부당이득법의 경합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0803 | 
		
			|  | 양육비청구권을 자동채권으로 하는 상계 -부양청구권의 법적 성질과 관련하여- | 가족법연구 | 한국가족법학회 | 단독 | 200711 | 
		
			|  | 법에서의 사실적 지배: 우리 점유법의 특성과 문제점 | 민사법학 | 한국민사법학회 | 단독 | 200706 | 
		
			|  | 유류분의 반환과 부당이득 | 민사판례연구 | 민사판례연구회 | 단독 | 200703 | 
		
			|  | 지급지시·급부관계·부당이득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 단독 | 200609 | 
		
			|  | 판덱텐 법학과 산업혁명 [번역]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 단독 | 200603 | 
		
			|  | 강제이행 -특히 간접강제의 보충성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 단독 | 200512 | 
		
			|  | 제삼자의 변제·구상·부당이득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 단독 | 200503 | 
		
			|  | 유럽계약법전 예비안(파비아 초안) 제1부(III) [번역]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 공동(교신) | 200503 | 
		
			|  | 소유물방해배제청구권에서 방해의 개념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0412 | 
		
			|  | 유럽계약법전 예비안(파비아 초안) 제1부(II) [번역]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200412 | 
		
			|  | 유럽계약법전 예비안(파비아 초안) 제1부(I) [번역]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공동(교신) | 200409 | 
		
			|  | 보증계약과 손해담보계약 | 저스티스 | 한국법학원 | 단독 | 200402 | 
		
			|  | 변제자대위 제도의 연혁에 관한 소고 | 사법연구 | 청헌법률문화재단 | 공동(교신) | 200312 | 
		
			|  | 독일착오론의 역사적 전개 -사비니의 착오론을 중심으로- | 저스티스 | 한국법학원 | 단독 | 200304 | 
		
			|  | 강제집행·파산절차에 있어서 양도담보권자의 지위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법학석사학위논문 |  | 공동(교신) | 199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