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 recours constitutionnel contre le délit d'avortement et la voix des femmes : une étude des perceptions de l'expérience de l'avortement |
tracés |
|
단독 |
201712 |
Justice Yet to Come: the Korea-Japan Foreign Ministers' Agreement of 2015 regarding the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
L'Homme |
|
단독 |
20170810 |
최근 여성차별철폐협약(CEDAW)의 한국정부에 대한 권고사항 - 유보조항 ‘가족성(家族姓)’ 규정을 중심으로 -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309 |
낙태죄 헌법소원과 여성의 ‘목소리’ [1]* 1) -낙태경험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법학논총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1303 |
법정책의 맥락에서 본 아동성폭력 언론보도 태도 |
아세아여성법학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
단독 |
201211 |
가정폭력 "피/가해자"의 탄생: 가정폭력 피해자의 처절한 사적 구제 |
공익과 인권 |
서울대학교 공익인권법센터 |
공동(제1) |
201209 |
韓國人 「軍慰安婦」 問題について 日本政府の 責任お 求めることは 民族主義の 發露なのか - 體系的 强姦の 植民地 |
立命館 言語文化硏究 |
RITSUMEIKAN UNIVERSITY |
단독 |
201111 |
"Multicultural Families" in South Korea: A Socio-Legal Approach |
NORTH CAROLINA JOURNAL OF INTERNATIONAL LAW AND COMMERCIAL REGULATION |
SCHOOL OF LAW,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
단독 |
201109 |
호주제도 헌법불합치 결정에 나타난 성차별 판단의 논증: ‘전통’과 식민지성의 관련성 속에서
|
경제와사회 |
한국산업사회학회 |
단독 |
201012 |
낙태에 대한 '다초점 정책'의 요청: 생명권 대 선택권을 넘어서 |
한국여성학 |
한국여성학회 |
단독 |
201012 |
의료법상 태아의 성감별 행위 등 금지 조항의 위헌 여부 판단을 위한 사회과학적 의견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0912 |
서울대학교 법학 50년의 성과와 전망: 법사회학 분야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0906 |
한국 친족상속법의 변화에 관한 사회학적 해석: 1958년 - 2007년 |
가족법연구 |
한국가족법학회 |
단독 |
200903 |
병역법 제3조 제1항 등에 관한 헌법소원을 통해 본 '남성만의' 병역의무제도 |
여성연구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단독 |
200812 |
A Journey of Family Law Reform in Korea: Tradition, Equality, and Social Change |
JOURNAL OF KOREAN LAW |
SEOUL NATIONAL UNIVERSITY LAW RESEARCH INSTITUTE & |
단독 |
200812 |
식민지 사법관료의 가족 '관습' 인식과 젠더 질서: <관습조사보고서>의 호주권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
사회와 역사 |
한국사회사학회 |
공동(교신) |
200810 |
Finding 'Map of Memory': Testimonies of Japanese Sexual Slavery Survivors |
POSITIONS-EAST ASIA CULTURES CRITIQUE |
DUKE UNIV PRESS |
단독 |
200803 |
Changing Position of Women in Korean Family Law |
젠더와 사회 |
한양대학교 여성연구소 |
단독 |
200712 |
1987년 이후 가족법의 변화에 관한 법사회학적 고찰 |
법과사회 |
법과사회이론학회 |
단독 |
200706 |
피해 증언의 생산과 과거 청산: 수지 김 유족 증언을 중심으로 |
민주법학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단독 |
200703 |
"증언을 통해 본 한국인 '군위안부'들의 포스트식민의 상흔(Trauma) |
한국여성학 |
한국여성학회 |
공동(교신) |
200610 |
"법해석과 사회학적 사고의 교감을 위해" |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단독 |
200609 |
"여성인권론의 쟁점들과 그 함의" |
아세아여성법학 |
아세아여성법학연구소 |
단독 |
200609 |
Vision of Postcolonial Feminist Jurisprudence in Korea: Seen from 'Family-Head System' in Family Law |
JOURNAL OF KOREAN LAW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
단독 |
200606 |
"호주제 폐지, 여성인권, 이태영 변호사가 남긴 유산" |
공익과 인권 |
공익인권법연구센터 |
단독 |
200603 |
"가정폭력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젠더폭력 개념을 중심으로" |
가족법연구 |
한국가족법학회 |
단독 |
200603 |
"실증주의 방법론과 여성주의 법학" |
서울대학교 법학 |
서울대학교 |
단독 |
200506 |
"여성낙태권의 필요성과 그 함의" |
한국여성학 |
한국여성학회 |
단독 |
200504 |
성매매방지법: 법과 사회구조, 성매매 여성 |
황해문화 |
새얼문화재단 |
단독 |
200503 |
60年間の 强姦: 韓國人 ‘軍慰安婦’の 植民後期の 傷痕 |
F-GENS FRONTIERS OF GENDER STUDIES |
お茶の水女子大學 |
단독 |
200503 |
여성의 목소리와 법여성학 방법론 |
가지 않은 길, 법여성학을 향하여 양현아 편 |
서울대 BK21 법학연구단 공익인권법센터 |
단독 |
200407 |
Gender Equality vs. 'Tradition' in Korean Family Law: Toward a Postcolonial Feminist Jurisprudence |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단독 |
200310 |
「서구의 여성주의 법학: 평등과 차이의 논쟁사」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단독 |
200210 |
「호주제 위헌소송에 관한 법사회학적 고찰: ‘가족’의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학 |
민음사 |
단독 |
200210 |
“Unfinished Tasks for Korean Family Policy in 1990s: Maternity Protection Policy and Abolition of the Family-Head System”
|
Korea Journal |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the UNESCO |
단독 |
200206 |
「‘전통’과 여성의 만남: 호주제 위헌소송에 관한 문화연구」
|
법사학연구 |
한국법사학회 |
단독 |
200204 |
「증언과 역사쓰기: 한국인 '군위안부'의 주체성 재현」
|
사회와 역사 |
한국사회사학회 |
단독 |
200112 |
「식민지 시기 한국가족법의 '관습' 문제: 시간성의 실종을 중심으로」
|
사회와 역사 |
한국사회사학회 |
공동(제1) |
200012 |
「호주제도의 젠더 정치: 여성 생산을 중심으로」
|
한국여성학 |
한국여성학회 |
단독 |
200006 |
「한국적 정체성의 어두운 기반: 식민성과 가부장제」
|
창작과 비평 |
(주)창작과비평사 |
공동(제1) |
199912 |
「한국의 호주제도: 식민지 유산 속에 숨쉬는 가족제도」
|
『여성과 사회』제 10집
|
한국여성연구소 |
단독 |
199905 |
“Envisioning Feminist Jurisprudence in Korean Family Law at the Crossroads of Tradition/Modernity."
|
박사학위 청구논문
|
The New School for Social Research |
공동(제1) |
199804 |
“Revisiting the Issue of Korean 'Military Comfort Women': Question of Truth and Positionality."
|
POSITIONS-EAST ASIA CULTURES CRITIQUE |
Duke University Press |
공동(제1) |
199705 |
「한국 가족법에서 읽은 세 가지 문제」
|
『가족과 법제의 사회사』한국사회사학회 논문집 |
한국사회사학회 |
공동(제1) |
199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