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으로 읽은 법 |
고전, 법을 말하다 |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
20111110 |
한국 사회의 정의'들'과 법 |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정의란 무엇인가? |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정의평화의원회 |
20111026 |
한국사회의 법질서와 정의 |
법철학 포럼 |
사법연수원 |
20111007 |
도시에 대한 권리 |
과학기술의 변화와 법 |
인제대학교 과학기술법센터 |
20110926 |
법의 지배: '왜 법'의 지배이며, '어떤 법'의 지배이며, 법의 '어떤 지배'인가? |
법의지배센터 10주년 기념 세미나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의지배센터 |
20101119 |
정의의 세 개념: 공정성, 공동선, 공통성 |
정의란 무엇이며 무엇이 아닌가? |
<수유+너머>N |
20101030 |
우리 대법원의 법해석방법론 전환: 로널드 드워킨의 눈으로 읽기 - law as integrity를 향하여 |
한국법철학회 추계학술대회 |
한국법철학회 |
20091128 |
거버넌스와 공공갈등: John Rawls의 정치적 자유주의 관점에서 |
갈등연구센터 개소 기념학술대회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 대학원 갈등연구센터 |
20091118 |
대학원 연구윤리 교육과 정규화 방안 |
2008년도 연구윤리 포럼 |
학술진흥재단 |
20080626 |
한국 자연법론의 형성과 전개 |
한국 법철학회 춘계 학술대회(제50주년 기념 학술대회) |
한국법철학회 |
20080607 |
인권과 정의론: 최소한의 정의원리 보장으로서의 인권 |
제1회 대한변호사협회 [인권법 간담회] |
대한변호사협회 |
2007. 4. 23 |
법원리로서의 공익: 자유공화주의 관점에서 |
법에 있어서의 공익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2006. 9. 4 |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and Its Conception of Equality |
The 3rd ASLI Annual Conference
|
East China University Of Politics and Law |
2006. 5. 23-26 |
칸트와 법치주의 |
철학사상연구소-법학연구소 공동심포지움 |
철학사상연구소/법학연구소 공동주최 |
2006. 12. 11 |
우리 최고재판소들의 이익형량방법론 |
한국 법철학회 콜로키움 |
한국 법철학회 |
2005년 9월 24일 |
목적론적 해석과 구성적 해석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교수집담회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2005년 11월 16일 |
시민불복종과 NGO-정당성과 한계 |
시민불복종과 NGO |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의지배 센터 |
2005.8.26-8.28 |
법치주의와 세계화 |
한국법과 세계화 |
서울대학교 BK법학연구단 |
2005.10.28 |
비교법과 법철학 - 차이성과 보편성 |
비교법과 법학연구(I) |
서울대학교 BK21 법학연구단 법제도비교연구센터 |
2004년 9월 11일 |
생명공학적 선택과 사적 자치의 원칙 |
인공생식의 법적 문제 |
서울대학교 BK21 제4팀 |
2003년 2월 27-28 |
권리의 이론적 쟁점 |
한국법철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
한국법철학회 |
2003. 12. 06 |
공정으로서의 정의관에서 본 남녀평등 |
한국법철학회 춘계학술대회 |
한국법철학회 |
2002. 5. |
Rawls의 자유론 |
한국법철학회 정례학술발표대회 |
한국법철학회 |
2001.12 |
도덕적 권리와 불가침의 기본적 인권 |
공법이론과 판례연구회의 정례세미나 |
공법이론과 판례연구회 |
2001.10 |
헌법원리로서의 정의이념 |
제92회 학술발표회 |
한국공법학회 |
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