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게시판

법학의 전당 서울법대 방문을 환영합니다
일반게시판

공익인권법센터 제13회 시민사회와 법의 대화 공개강좌 안내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공익인권법센터 작성일19-08-07 09:07 조회3,198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가 여는 공개강좌

13회 시민사회와 법의 대화

: 아동 인권을 중심으로

 

안녕하십니까.

저희 서울대 법대 공익인권법센터에서는 2007년부터 시민사회 활동가 및 관련 전문가들을 위한 공개강좌 NGO와 법의 지배를 개설해 왔습니다. 지난 2013년부터는 그 동안의 관심과 성원에 힘입어 시민사회와 법의 대화로 강좌명을 변경하여 보다 폭넓고 깊이 있는 강의를 준비하여 왔습니다.

이번 제13회 시민사회와 법의 대화 강좌에서는 세계아동권리선언 60주년, 유엔아동권리협약 채택 30주년이자 대한민국에 대한 유엔아동권리위원회의 국가 심의가 있는 중요한 해를 맞이하여, ‘아동 인권을 강좌 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아동 인권과 관련하여 학계, 법조계, 국가기관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이 제공하는 생생하고도 풍부한 현장 경험과 이론적 지식을 토대로 하여 활발한 토론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공익인권법센터에서는 향후에도 시민사회와 언론, 학계, 정부 간의 소통을 활성화하고 지식을 공유함으로써 시민사회와 법의 대화를 지속적으로 추구해 나가겠습니다.

 

20198

 

서울대 법학연구소 공익인권법센터장 양현아 교수 드림

 

센터 참여교수 정인섭 한인섭 김도균 장승화 양현아 조국 이우영 최계영 김복기 신윤진 홍진영 교수

 

 

- 일시 : 2019. 9. 4. - 11. 27. 19:30 21:30 (, 개강일과 종강일은 22:00까지)

- 장소 : 서울대 법대 내 (추후공지)

- 수강대상 : NGO 활동가, 정부기관 공무원, 일반시민 등

- 모집 기간: 2019. 8. 6. () - 8. 27. ()

- 지원방법: 서울대 법대 홈페이지(http://law.snu.ac.kr) 학술행사 게시판에서 수강지원서를 다운로드하여 작성 후 이메일(snucslaw@gmail.com)로 제출
또는 구글닥스로 신청 (https://forms.gle/vj9Xy28zkvSoPYxi6)

- 수강료: 10만 원 (정부기관 공무원 25만 원)

- 기타: 9주 이상 수강자에게는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장 명의의 수료증 수여

(강좌 당일 수강생 대상 간단한 다과 제공. 올해부터는 식사를 따로 제공하지 않습니다)

- 강좌 문의: 서울대 공익인권법센터 공개강좌(snucslaw@gmail.com)

 

 

 

 

 

 

1

9/4

개강식

강좌 운영위원 교수

기조 강연: 유엔아동권리협약, 30년의 역사

이양희 교수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학과, 전 유엔아동권리위원회 위원장)

2

9/18

헌법과 아동인권

오동석 교수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3

9/25

이주, 난민 아동의 인권

이탁건 변호사 (재단법인 동천)

4

10/2

수용자 자녀의 인권

강정은 변호사 (사단법인 두루)

5

10/16

가사재판에 있어서 아동의 최선의 이익 보호

이선미 판사 (사법정책연구원)

6

10/23

유엔아동권리협약의 국내적 이행

윤채완 과장 (국가인권위원회 아동청소년인권과)

7

10/30

성매수범죄의 대상이 되는 아동의 보호

임수희 부장판사 (대전지방법원 천안지원)

8

11/6

아동학대에 대한 법적·정책적 대응

이명숙 변호사 (법률사무소 나우리)

9

11/13

입양과 아동 이익 최우선의 원칙

소라미 교수 (서울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10

11/20

소년재판과 아동인권

이광우 부장판사 (인천지방법원)

11

11/27

유엔아동권리협약의 이행과 관련한 시민단체의 역할

김희진 변호사 (국제아동인권센터)

수료식

강좌 운영위원 교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TEL : 02-880-7536(일반대학원), 7537(수업), 7538(장학,학생), 7539(법학전문대학원), 7534(서무)

Copyright 2015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Law.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