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회학봉상

법학의 전당 서울법대 방문을 환영합니다
학봉상 취지 법학논문부문
공모취지

제10회 학봉상 제9회 학봉상 제8회 학봉상 제7회 학봉상 제6회 학봉상 제5회 학봉상 제4회 학봉상 제3회 학봉상 제2회 학봉상 제1회 학봉상

제1회 학봉상

학봉상 제정 취지

학봉상은 재일동포 실업가이셨던 故 학봉 이기학 선생(1928~2012)의 철학과 이념을 기리고 소중한 뜻을 계승하고자 만들어진 상입니다.

서울법대는 학봉 선생의 뜻을 받들어 학봉상을 창설하고, 다양한 사람들의 지혜를 모으고 유연하고 창조적인 사고를 통하여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에 대한 근원적 해답을 찾기 위한 노력으로 논문을 공모합니다.

현재 급변하는 대내외적 상황 속에서 대한민국의 미래는 위기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역, 계층 간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고, 고령화, 저출산이 문제되고 있으며, 무분별한 경쟁과 과도한 성취 지상주의가 팽배해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 문제들은 서로 교차하면서 연관된 중층적 구조를 띠고 있고, 다른 국가, 다른 지역의 문제와 얽히고 설켜 있습니다.

우리 사회와 국가가 당면해 있는 불확실성에 대처하고 ‘행복한 사회’로 새로이 도약하기 위해서는 사회 지도층만이 아니라 각계각층의 모든 사람들이 이에 대하여 진지하게 생각하고 현실적인 해답을 찾아야 합니다. 우리가 구하고자 하는 것은 책상 위의 미사여구나 독선적인 추상적 아이디어가 아닙니다. 새로운 시점이나 접근방식을 제시하고, 뚜렷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 상황을 극복하고 우리들 자신마저 변화시켜나갈 수 있는 현실적인 단서, 이것이 우리가 얻고자 하는 지혜입니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매년 한 개씩 구체적인 과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응할 지혜를 결집할 터전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 터전이 우리가 함께 사는 이 사회를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끌어갈 하나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장∙법학대학원장 이원우

2015년도 제1회 학봉상 모집요강

주 제

"한일 문화교류와 양국관계의 미래"

공모 사항
  1. 1. 논문 공모 사업
  2. 2. 연구지원사업
응모 자격 등
  1. 1. 논문공모사업
    1. 1) 연구자 부문 : 논문내용 분야에 관한 석사이상 학위소지자
    2. 2) 일반부문 : 1) 이외 응모자(자격 제한 없음, 석사 이상 학위소지자도 지원 가능)
    3. 3) 연구자 부문과 일반 부문을 나누어 심사함.
    4. 4) 개인 혹은 팀 참가. 팀 참가의 경우 책임저자 한명을두어야 함.상기 1) 내지 2)의 기준은 그 책임저자의 자격을 기준으로정함.
  • 2. 연구지원사업

    대학 등 연구기관 또는 이에 준하는 기관에 속한 연구자 개인 혹은 그룹.

    이상 1. 2.에서응모자의 국적 및 거주지역은 묻지 않음.
  • 공모 일정
    1. 1. 논문공모 사업
      1. 1) 논문접수기간 : 2015년 8월15일 - 8월31일
      2. 2) 당선작 발표 : 2015년 10월31일 예정 (홈페이지 발표 및 개별연락)
      3. 3) 시상식 : 2015년 11월 예정
    2. 2. 연구 지원사업
      1. 1) 연구 계획서제출기간 : 2015년8월15일 - 8월31일
      2. 2) 지원연구과제 선정 : 2015년 10월31일 예정 (개별연락)
      3. 3) 지원대상 발표 : 2015년 11월 예정 (공모논문 시상식에서 함께 발표)
      4. 4) 연구논문 제출기간 : 2016년 12월 말 (연구기간 약 1년)
    심사 기준
    • 주제와 문제의식, 접근 방법의 독창성 및 논리성
    • 연구결과의 현실성과 효용성
    제출 양식
    1. 1. 논문공모 사업
      1. 1) 지정된 공모 논문 표지에 제목, 영문제목, 저자 등을 기재하고, 서명 또는 날인한 뒤 스캔하여 첨부하여야 함.
      2. 2) 본문 11Pt, 줄 간격 160%(한글) 또는 1.15(MS워드), A4용지 30매 이내, 한국어 혹은 일본어를 사용하며 한글2007 혹은 MS 워드2007이상으로 작성.
      3. 3) 초록은 2매이내로 작성하여 논문 처음에 첨부하고참고문헌은 논문의 끝에 첨부하여야 함. 초록과 참고문헌은 위 2)의 규정 매수에서 제외됨.
      4. 4) 신규작성논문 이외에 본공모주제에 합치하는 과거 2년이내(2013년1월1일 이후)에 발표된 한국어 혹은 일본어로 된 기존논문/저작물(미출판 논문도 포함한다)도 제출 가능. 다만 위 양식에 맞추어 제출하여야 함.
      5. 5) 제출방법:표지와 논문(초록, 참고문헌 포함)을 e-mail에 첨부하여 제출하되, e-mail 제목 및 파일 제목을 <제1회 학봉상 공모논문:“논문 제목, 저자 이름”> 으로 하여야 함. 해당 e-mail 본문에 저자(팀 참가의 경우 책임저자)의 이름, 주소, e-mail 주소, 휴대전화 번호를 반드시 기재하여야 함.
    2. 2. 연구지원사업
      1. 1) 연구계획서를 제출하며, 그 연구기간은 2016년12월말까지로 함.
      2. 2) 계획서 본문 11Pt, 줄 간격 160%(한글) 또는 1.15(MS 워드) 이내, A4용지 10매 이내, 한국어 혹은 일본어를 사용하며 한글2007 혹은 MS 워드2007이상으로 작성.
      3. 3) 제출방법:계획서를 email에 첨부하여 제출하되, e-mail 제목 및 파일 제목을 <제1회 학봉상 공모 연구 지원 사업 : “논문 제목, 저자 이름”>으로 하여야 함. 해당 e-mail 본문에 연구자(팀 참가의 경우 책임연구자)의 이름, 소속기관, 주소, e-mail 주소, 휴대전화 번호를 반드시 기재하여야 함.
    공모 논문 시상 및 상금
    연구자부문 우수상 상금 2,500만원 1명. 해당 논문이 없을 경우 1-2명에게 각각 장려상 및 상금 1,000만원 시상.
    일반부문 우수상 상금 1,500만원 1명. 해당 논문이 없을 경우 1-2명에게 각각 장려상 및 상금 500만원 시상.
    대상 상금 3,000만원 연구자부문 또는 일반부문 우수상 수상작 중 해당작이 있는 경우 우수상 상금에 추가하여 시상함.
    연구지원사업 계약체결 등
    • 채택된연구계획에 대하여, 2,500만원을 한도로 1~2 사업을 지원할 예정임.
    • 지원금의 규모, 지급시기 등에 관해서는 서울법대(학봉상 운영위원회)와 지원자 간 연구지원계약 체결 시 협의하여 결정함.
    주의사항
    • 응모 논문과 연구계획서는 반환이 불가함.
    • 시상논문, 연구지원논문의 저작권은 저작자에 속하나,서울법대(학봉상 운영위원회)는해당 논문의 복제권, 배포권을가짐.
    • 시상논문, 연구지원논문은 서울법대(학봉상 운영위원회)가 관리하는 웹사이트에 무상으로 전면 공개할 예정이며, 또한 필요시 출판할 계획임.
    주 최
    • 주 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법학대학원(학봉상 운영위원회)
    • 후 원 재단법인 학봉장학회
    문 의
    • E-mail hakbongprize@snu.ac.kr
    • 우 편 151-743 서울특별시관악구관악로 1 서울대학교 17동 209호 서울대학교법과대학/법학대학원학봉상운영위원회 사무국
    • 전 화 02) 880-2446
    • 홈페이지 http://law.snu.ac.kr

    제1회 학봉상 주제소개

    한·일 문화교류와 양국관계의 미래

    최근 몇 년 간 한·일 관계는 퇴보를 거듭하였으며, 양국 간 긴장 상태가 수교 후 최악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에서는 일본의 우경화 경향이나 잘못된 역사 인식에 대한 걱정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여전히 우리에게 가까운 이웃일 수밖에 없으며, 우리가 현재 또는 미래에 풀어야 할 과제 중에는 일본과 함께 풀어가야 할 것들이 결코 적지 않을 것입니다.

    학봉상은 점점 더 악화되어가는 한·일 양국 간 긴장 상태를 타개하기 위한 접근방식으로서 ‘문화 교류’를 조명해보고자 합니다. 문화 교류는 상대방에 대한 깊은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상대방과의 공감대 형성을 이끌어낼 수 있는 가장 좋은 통로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학봉상 제1회 주제를‘한·일 문화교류와 양국관계의 미래’로 선정하고, 이에 관한 연구를 공모하고자 합니다.

    제1회 학봉상은 위와 같은 주제의 성격상 한국과 일본 양국에서 연구를 공모하기로 하였습니다. 많은 사람들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듣고 이를 올바르게 수렴하는 것이 진리에 이르는 가장 빠른 길이라는 믿음과, 서로를 돌아봄으로써 다가오는 장래에는 가장 가까운 이웃이 될 수 있으리라는 희망으로, 위 주제에 대한 많은 분들의 깊은 성찰을 구하는 바입니다. 광복 70주년, 한·일 수교 50주년을 맞이하는 올해, 한·일 관계의 어제를 돌아보고 내일을 계획하는 의미 있는 작업에 많은 분들이 참여하기를 바랍니다.

    연구주제의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일본(또는 한국)에서의 한국(또는 일본) 문화 수용의 역사적 전개와 현황, 앞으로의 과제
    • 한·일 양국의 정치·외교 문제에서 문화교류의 영향력 및 역할
    • 문화콘텐츠 측면에서 한류와 일류의 비교분석
    • 일본의 ‘혐한’ 현상에서 미디어의 역할
    • 인터넷 커뮤니티에서의 한·일 간 커뮤니케이션 현황과 문제점
    • 한국에서 일본 문화의 수용이 일본에 대한 감정 및 이해에 미친 영향
    • 한·일 양국 자치단체 간 문화교류에 대한 정치·외교 문제의 영향 및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
    • 한·일 양국 간 문화를 통한 외교 정책 전개의 가능성 및 예상되는 문제점, 구체적 정책 제안
    • 한·일 문화 융합의 가능성 및 동아시아 문화권 구축 전망
    • 한·일 문화 교류와 시민 사회 : 민주화, 다원화, NGO 활동 등

    제1회 학봉상 수상작

    공모논문
    연구자부문 수상작없음
    일반부문 장려상 요네즈 토쿠야, "日本人 從軍記者의 韓國戰爭 報道와 그 性格 ―韓日 文化交流의 原點"

    원문(한국어) 번역문(일본어)

      장려상 오카미 히로시, "한일공동선언 이후 문화∙인적 분야의 교류 전개 – 일본에서의 한국 대중문화를 중심으로" 

    번역문(한국어) 원문(일본어)

    연구지원대상
    최은봉 · 박명희, "갈등적 프레임으로부터 소통형 담론 형성의 탐색: 한일간 대학생의 인식격차 요인 분석과 토론형 공론조사 방식을 통한 인식격차 축소"

    원문(한국어) 번역문(일본어)

    혼다 미호, "한국의 일본어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질적 향상을 위하여" 

    번역문 01(한국어) 번역문 02(한국어)


    원문 01(일본어) 원문 02(일본어)

    이홍천 · 김미림 · 황선혜 · 이경은, "일본의 출판미디어에 있어 혐한의식 현상과 비판적 고찰"

    번역문(한국어) 원문(일본어)

    第一回 鶴峰賞 受賞作

    公募論文
    研究者部門 該当作無し
    一般部門 奨励賞 米津篤八、 『日本人従軍記者の韓国戦争報道とその性格 ―日韓文化交流の原点』

    韓国語原本 日本語翻訳

      奨励賞 岡見 浩史、『日韓共同宣言以降の文化・人的分野における交流の進展 ―日本における韓国大衆文化を中心に―』

    韓国語翻訳 日本語原本

    研究助成対象
    チェ・ウンボン(최은봉)/パク・ミョンフィ(박명희)、『葛藤的フレームから疎通型談論 形成への探索:韓日間大学生の認識格差要因分析と討論型世論調査方式を通じた

    韓国語原本 日本語翻訳

    本田美保、『韓国の日本語教育における教師の質的向上を目指して』

    韓国語翻訳 01 韓国語翻訳 02


    日本語原本 01 日本語原本 02

    李洪千、キム・ミリム(김미림)、ファン・ソンヘ(황선혜)、イ・ギョンウン(이경은)、『日本の出版メディアにおける嫌韓意識の現状と批判的考察』

    韓国語翻訳 日本語原本


    08826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TEL : 02-880-7536(일반대학원), 7537(수업), 7538(장학,학생), 7539(법학전문대학원), 7534(서무)

    Copyright 2015 Seoul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Law.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